728x90 반응형 Category37 [Ubuntu] IP 주소로 device name 검색하는 방법 (feat. python)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Ubuntu를 사용하다 보면 네트워크 설정 문제를 해결하거나 특정 디바이스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자신의 IP 주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IP Scanner 앱을 검색하면 설치하여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있지만, 이 글에서는 터미널 명령어와 Python을 사용해 IP 주소와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ip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Ubuntu에서 IP 주소와 네트워크 디바이스 이름을 확인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ip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ip addr이 명령을 실행하면,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정보가 출력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인터페이스 이름: lo, eth0, wlan0 등 네트워크 디바.. 2025. 1. 16. [Ubuntu] Hostname 변경하기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Ubuntu에서 시스템의 Hostname(호스트 이름)을 변경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Hostname은 네트워크에서 컴퓨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며, 서버 관리나 로컬 네트워크 설정 시 중요합니다. 1. 현재 Hostname 확인현재 설정된 Hostname을 확인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하세요:hostnamectl출력 예시: Static hostname: old-hostname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vm Machine ID: xxxxxxxxxxxxxxx Boot ID: xxxxxxxxxxxxxxxOperating System: Ubuntu 22.04.1 LTS K.. 2025. 1. 16. 2024년을 돌아보며, 2025년을 계획하다: 개발자의 여정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 2024년이 저물어 가는 지금, 저는 지난 한 해 동안 무엇을 이뤘고, 무엇을 시도했지만 실패했으며, 어디에서 부족했는지 되돌아보게 됩니다. 2023년 10월 회사의 갑작스러운 파산이라는 도전에 직면하면서, 저는 마음을 다잡기 위해 블로그를 시작했습니다. 개발자로서 10년의 경력을 돌아보며, 제가 겪었던 경험과 배운 지식을 나누는 것이 큰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처음에는 하루에 하나의 글을 쓰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웠지만,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습니다. 최근에는 두 달 동안 글을 쓰지 못하기도 했습니다. 이제 2025년이 다가오며, 조금 더 현실적인 목표를 가지고 다시 도전하려고 합니다. 2024년 나의 프로젝트올해 제가 시도했던 일들은 아래와 같습니다.1.. 2024. 12. 28. [OpenCV + GCP] ImportError: libGL.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 GCP에서 Inference가 가능한 API서버를 만들던 도중 나타난 오류를 기억하기 위해 작성해 둔다.에러메시지ImportError: libGL.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개발환경클라우드 플랫폼 : Google Cloud Egine - VM Instance머신유형 : e2-smallCPU 플랫폼 : Intel Broadwell운영체제 : Ubuntu 22.04아키텍처 : x86/64메모리 : 1GB디스크 용량 : 20GB최초 디스크의 용량을 10GB로 하여 생성하였으나 pytorch, openvino 등등 여러 패키지가 설치되며 캐시의 부족과 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디스크의 용량을 20GB.. 2024. 11. 14. [시놀로지] 시스템 용량 부족 문제점 해결 방안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시놀로지 나스를 사용하다보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용량(root 용량)과 저장을 위한 스토리지 용량이 별개로 되어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시놀로지에서 클라우드 배포 전에 API 서버나 웹서버의 테스트를 구동하느라 여러 패키지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면서 시스템 용량이 0GB가되는 현상이 일어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의 확인을 거쳐 원래대로 용량을 복원시킬 수 있었습니다. 시스템 용량이 0GB가 되면 안되는 이유는 시놀로지 설치 패키지의 업데이트가 안되며 최악의 상황에서는 DSM 로그인이 안되는 현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SSH 접속1. 나스의 SSH로 접속한다2. sudo su - 를 입력하여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3. cd / 을 입력한다.4. df -h.. 2024. 11. 12. Stable Diffusion XL 이란? 사용법이나 이전 모델과의 차이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Stable Diffusion XL은 Stability AI 사가 개발한 Stable Diffusion의 최신 모델로 SDXL로 약칭됩니다. 2023년 7월에 정식판 SDXL1.0, 그 후, 11월에는 SDXL Turbo가 발표되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table Diffusion XL의 세부 사항과 사용법을 소개합니다. Stable Diffusion XL 이란?Stable Diffusion XL(SDXL)은 Stability AI사에 의해 개발되어 오픈 소스화된 이미지 생성 AI의 최신 모델(2024년 4월 시점)입니다. 이전 모델보다 정밀도가 높고 다양한 스타일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Stable Diffusion XL 과 이전 모델의 차이Stable Diffus.. 2024. 11. 11. [Stable Diffusion Web UI] ControlNet의 사용법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ControlNet은 Stable Diffusion Web UI의 확장 기능 중 하나로 생성되는 이미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Stable Diffusion Web UI에서 ContorlNet을 설치하는 방법을 요약합니다. 아울러 ControlNet의 모델의 하나인 Canny에 대해 소개합니다. ControlNet 이란?ControlNet은 Stable Diffusion 모델에서 입력 이미지의 세부 사항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확장 기능입니다. 일반적인 Text-to-Image 모델은 텍스트 프롬프트를 입력으로 받지만, ControlNet을 사용하면 텍스트 프롬프트 외에도 스케치, 윤곽선, 포즈, 에지(edge) 등 다양한 추가 이미지 정보를 .. 2024. 11. 7. [Stable Diffusion Web UI] 모델 사용 방법 (Checkpoint)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 모델이란?Stable Diffusion WebUI는 미리 설정한 모델에서 프롬프트에 맞게 이미지를 생성합니다. 모델에 따라 실사풍, 애니메이션, 유화 등 다양한 특징이 있으며, 생성되는 이미지의 분위기와 스타일, 화풍에 영향을줍니다. 생성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가까운 모델을 사용하면, 예상한 이미지에 가까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모델 (Checkpoint)와 LoRA의 차이Stable Diffusion Web UI에서는 "Checkpoint"와 "LoRA"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됩니다.Checkpoint는 모델 파일의 기본으로 사용되는 본체가 됩니다. LoRA는 Checkpoint 모델에 추가적인 데이터셋으로 특정한 도메인에 특화되어 적응되도록 추가로 학습된 모델 파일을.. 2024. 11. 6. [AUTOMATIC1111] Windows에 설치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코딩산책입니다. Stable Diffusion 이란?Stable Diffusion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생성 AI입니다.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해당 이미지가 생성되는 방식입니다. 사람, 동물, 풍경 등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cat wearing sunglasses"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생성하는 이미지의 스타일도 다양하고 일러스트와 사진, 수채화와 애니메이션 톤 등 자신이 좋아하는 테마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Stable Diffusion WebUI (AUTOMATIC1111) 란?Stable Diffusion WebUI(AUTOMATIC1111)는 브라우저를 통해 손쉽게 이미지 생성을 할 수 있는 무료 웹 애플리케이션으로 구글 크.. 2024. 11. 5. 이전 1 2 3 4 5 다음 728x90 반응형